2020년 4분기부터 배당주 강세가 나타나고 있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배당주 투자 성과는 부진한 편입니다. 그 이유는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지고 전통적으로 배당수익률이 높은 가치주의 경우 성장이 저조하기 때문입니다. 2021년 하반기 그리고 2022년 에는 성장주의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배당 투자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 배당주 투자 전력과 함께 배당주 포트폴리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배당주 투자이유
지배구조 개선으로 최근 대기업 집단 배당은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020년 회계연도에 상장사 현금 배당액이 사상 처음으로 40조 원을 돌파하였습니다. 2014년 이후 꾸준하게 우상향 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삼성전자가 급격하게 배당 규모를 늘리긴 하였지만 삼성전자를 제외하더라도 상장사들의 배당성향을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동안의 상장사들은 지배구조가 복잡하고 총수 일가의 낮은 지분율로 배당에 인색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지배구조 변화가 진행되면서 배당 지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배당투자의 경우에는 고성장보다는 성장 둔화 국면에서 수익률에 크게 도움이 됩니다. 2021년 이후에는 성장이 둔화되는 국면이기 때문에 배당투자로 인하여 명목성장률+배당수익률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성장 둔화 국면에서는 설비투자가 위축되지만, 반면 기업이 쌓아 놓은 잉여 유동 서은 매우 큽니다. 기업들은 성장 둔화 국면에서 자기 자본 효율성 (ROE)를 높이기 위한 방법은 자기 자본의 축소인 배당과 자사주 매입으로 ROE를 높일 수 있습니다.
2. 배당주 선정원칙
안정적으로 배당을 지급하는 종목 중에서 지배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을 고려해 선별해야 합니다. 배당을 안정적으로 기업은 웬만하면 배당금을 줄이지 않습니다. 배당의 미지급이나 배당금의 삭감은 그 기업이 어렵다는 점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지배구조 개선에서 탄성이 있을 수 있는 종목을 찾아야 하고, 저성장 국면에서 구조적으로 쇠락하는 종목을 피해야 합니다. 귀족 배당주가 즐비한 미국에 비해 한국의 배당주는 협소하기 때문에 종목 선택이 상당히 중요합니다.
3. 국내주식 배당주 포트폴리오
종목명 | 배당성향 | 예상배당수익률 (%) |
삼성전자 | 78 | 3.7 |
삼성물산 | 37 | 1.7 |
SK텔레콤 | 48 | 3.2 |
SK | 195 | 2.6 |
한국금융지주 | 20 | 2.9 |
롯데지주 | - | 2.7 |
효성 | - | 4.9 |
휴켐스 | 77 | 4.6 |
동아쏘시오홀딩스 | 4 | 0.8 |
LF | 82 | 2.6 |
종근당홀딩스 | 9 | 1.3 |
CJ4우 | 78 | 2.2 |
두산우 | - | 3.8 |
한국페러랠 | - | 11.8 |
고려신용정보 | 37 | 3.6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배당주 8개 종목 추천 (0) | 2021.11.23 |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부동산 정책 (0) | 2021.10.11 |
배당주 투자 잘하는 방법 (0) | 2021.10.10 |
상업용 부동산 용어 정리 (0) | 2021.10.10 |
비트코인 가격 다시 오르는 이유 3가지 정리 (0) | 2021.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