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미국 401K 퇴직 연금 제도 알아보기

by 문화 생활 정보 2021. 9. 8.

미국의 401K는 미국 확정기여형 기업연금제도로 1981년 도입되었습니다. 401K는 회사와 개인이 임금의 일정 비율을 각출하여 개인이 직접투자 상품을 골라 은퇴자산을 관리합니다. 오늘은 미국의 퇴직연금제도인 401K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401K란? 

미국의 401K로 조성된 자산은 주식, 채권, 보험, TDF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됩니다. 미국의 401K는 미국 확정기여형 기업연금제도로 1981년 도입되었습니다. 401K는 회사와 개인이 임금의 일정 비율을 각출하여 개인이 직접투자 상품을 골라 은퇴자산을 관리합니다. 401K로 조성된 자산은 주식, 채권, 보험, TDF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됩니다. 

 

2006년 미국 정부는 근로자의 동의 없이 연금에 가입한 후, 이후 연금에 가입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표시하면 유지가 되는 자동가입제도가 들어있는 연금 보호법을 만들었습니다. 미국의 퇴직연금인 401K의 운용 형태를 보면, 안전자산보다는 위험자산 (주식펀드, 혼합펀드, 혼합펀드, TDF 등) 중심으로 운영됩니다. 

 

30년 이상 401K 제도가 운영되면서, 관련 자산의 규모는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식 자산의 비중이 높기 때문에, 미국 주식시장의 성장으로 가입자의 적립 규모도 안정적으로 늘어 나는 효과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오바마 정부 시절 401K 자동 가입 제도를 도입한 이후, 401K 자산 은 매우 빠르게 증가하였습니다. 

 

2000년 8300억달러였던 401K 자산 규모는 2019년 4조 170억 달러까지 늘었습니다. 401K는 주식자산 비중이 높아, 닷컴 버블이나 글로벌 금융 위기 등 주식 시장의 변동성이 커지면 자산 규 모가 크게 줄어들 때가 있습니다. 하지만 주식 시장이 하락 이후 상승하면서, 401K의 자산 규모는 다시 증가 추세로 돌아서곤 했습니다. 

2. 401K 성과 

미국 401K 의 특징은 위험자산의 비중이 높은 적극적 운용입니다. 미국 주식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에 힘입어, 401K의 높은 주식 자산 비중은 투자자들에게 성공적인 결과를 가져왔습니다. 2019년 말 401K는 국내 주식 43%, 해외주식 6%, 혼합 28%, 채권 11%, 유동성 2% 등으로 자산이 구성됩니다. 

 

위험자산 중심의 401K의 자산배분은 퇴직연금의 적립금의 86.6%가 원리금 보장형에 투자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TDF 자산규모와는 전혀 다릅니다. 퇴직연금은 일반적으로 30년 이상 투자하는 금융자산이기 때문에 장기투자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해야 합니다. 401K 투자자들은 위험자산에 대한 시간 투자를 통하여 수익률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401K의 주식 자산은 비중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장기간에 걸친 자산시밸런싱이 되는 장점으로 인해 TDF는 미국 퇴직연금 적격 기본 투자 상품중에서 투자자들의 호응이 가장 큰 상품입니다. 2006년 대비 2016년 TDF의 자산 비중은 거의 4배가 되었습니다. 20대의 401K 중 TDF 비중이 거의 절반에 육박하고 있으며, 향후 젊은 세대들은 TDF 자산이 늘어나면서 투자비중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미국인들은 은퇴자산의 초석이 401K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은 그동안의 성공적인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펀드 등을 통해 미국 주식과 해외주식에 투자하면서, 경제 성장의 과실을 투자자산에 실현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IT와 바이오, 인터넷 등 새로운 산업에 대한 주도권을 계속 미국이 가져가면서, 미국의 주식 시장은 장기적으로는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미국 주식시장에 투자한 401K 가입자들은 본인의 은퇴 자산을 점점 불려갔고, 이를 어려서부터 지켜본 젊은 투자자들은 주식 자산 투자에 대해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것이 유리함을 배웠습니다. 

 

3. 경제위기시 401K 포트폴리오

401K의 구성은 주식펀드, TDF, 혼합펀드, 채권펀드, 유동성, 주식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투자자의 성향이 공격적 투자자인지 안정적 투자자인지에 따라 포트폴리오에 구성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젊은 투자자들 수록 공격적으로 TDF 비중을 늘렸습니다. 

 

401K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의 충격이 올때마다 주식 펀드의 비중을 줄이고 TDF 등 혼합펀드의 비중을 늘렸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자산 리밸런싱이 필요성을 절감한 ㅌ투자자들은 국내 주식 자산을 TDF로 옮겼습니다. 

 

여기서 중요한점은 자산 리밸런싱을 하더라도 주식 자산에서 다른 자산으로 옮긴 것이 아니라 새로운 금융상품인 TDF로 옮긴 것입니다. TDF는 연령대별로 비중은 차이가 나지만, 핵심자산은 모두 주식입니다. 

 

경제의 펀데멘탈이 건실하다면 경제 위기 이후의 주식자산의 회복을 기대하는 것이 수익률을 높이는 방법으로 401K 투자자들은 포트폴리의 많은 부분을 주식자산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