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퇴직연금 투자방법 알아보기

by 문화 생활 정보 2021. 9. 8.

우리나라 은퇴자산 시장은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등으로 구분됩니다. 퇴직연금은 퇴직금제도와 퇴직연금제도로 운용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퇴직연금으로 투자방법인 TDF, 퇴직연금펀드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퇴직연금 TDF 투자

 

 

퇴직연금에서 집합투자증권으로 운용되고 있는 퇴직연금펀드는 퇴직연금 적립금이 증가함에 따라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은 직접투자 방법은 개인연금저축으로 투자하는 방법과 간접투자 방법은 TDF 투자와 퇴직연금펀드로 투자하는 방법이 이습니다. 

 

투자자들의 자산 리밸런싱에 고민을 덜어주기 위해 만들어진 상품이 TDF 입니다. TDF는 은퇴시점을 Target Date로 설정하여 생애 주기에 따라 자산배분을 조정하는 펀드입니다. 자산을 축적해야 하는 시기에는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게 가져가고, 은퇴 시점이 다가올수록 채권펀드 등 안전자산의 비중을 점차 높여갑니다.

 

은퇴 이후에는 쌓아온 자산을 배분하는 시기로 자산 보존이 자산 관리의 주요 목표가 됩니다. TDF는 2016년 이후 가장 자금이 많이 모이는 투자 유형중 하나이며, 퇴직연금 자산운용에 적합한 금융 상품입니다. 

 

TDF는 30~50년 동안 투자가 이어지므로, 장기시간에 대한 투자가 가능합니다. 대분의 TDF는 초기의 위험자산 (주식) 비중이 90%에 육박합니다. 위험 자산의 비중은 은퇴가 다가올수록 점차 낮아지게 됩니다. 은퇴 시점이 지나면 TDF의 위험자산 비중을 대략 30~40% 수준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TDF 펀드 현황] 

펀드명 설정일 운용사
미래에셋전략배분 TDF2025혼합 2017-03-13 미래에셋
미래에셋글로벌그레이트컨슈머연금(주식) 2011-11-03 미래에셋
미래에셋라이프사이클4050연금(주식혼합) 2005-10-28 미래에셋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연금(채권) 2010-07-27 미래에셋
삼성한국형 TDF2045H[주식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삼성한국형 TDF2020H[채권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미래에셋라이프사이클2030연금(주식) 2005-10-27 미래에셋
미래에셋자산배분TDF2025(채권혼합- 재간접 2017-03-03 미래에셋
삼성한국형 TDF2030H[주식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삼성한국형 TDF2040H[주식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미래에셋전략배분 TDF2045혼합 2017-03-13 미래에셋
미래에셋전략배분 TDF2030혼합 2017-03-13 미래에셋
삼성한국형 TDF2025H[주식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삼성한국형 TDF2035H[주식혼합-재간접 2016-04-21 삼성
미래에셋전략배분 TDF2035혼합 2017-03-13 미래에셋

 

2.  퇴직연금 펀드 투자

최근 퇴직연금펀드에는 주식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채권형과 채권혼합형이 비중이 70%를 차지할 정도로 보수적인 운용이 주가 되어 운용됩니다. 퇴직연금은 안정적으로 운용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변화의 움직임도 있습니다. 2017년 이후 주식형 규모는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6년만 해도 주식형의 비중이 8.1% 였던지만 최근에는 16%까지 상승하였습니다. 가입자의 나이와 예상 은퇴시점 등을 기초로 자산배분을 조절하는 TDF 투자가 늘어나는 점도 주식형 규모가 늘어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기금형 퇴직연금·디폴트옵션 등 정부의 퇴직연금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면, 주식형에 투자하는 경우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401K 의경우 미국 주식시장의 꾸준한 상승으로 인하여 주식형 비중이 크게 높아지고있습니다. 반면 국내 주식시장의 경우 정체된 흐름 속의 상승이 이어지므로 투자자들의 주식형 비중을 늘리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젊은 층을 중심으로 주식형 비중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퇴직연금 주요 펀드 현황을 보면, 채권혼합 유형과 채권 유형의 비중이 높습니다. 그 밖에는 배당형 펀드와 글로벌 채권과 글로벌 주식 유형이 자산 규모로 상위에 들었습니다.

 

최근 몇 년 사이 투자자 들은 우리나라 자산 뿐만 아니라 해외자산 투자에도 적극적으로 변하고 있다. 코로나 19 사태로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커졌을 때, 투자자들은 우리나라 우량주와 함께 미국 등 의 우량주도 적극적으로 매수하였습니다. 퇴직연금 자산에도 글로벌주식과 글로벌 채권을 선호하는 새로운 패턴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강화될 것입니다.

 

[퇴직연금펀드 현황]

펀드명 평가유형 설정일 운용사
KB 퇴직연금배당40(채권혼합)C 채권혼합 2006-01-02 KB
한국밸류10년투자퇴직연금(채권혼합)(C) 채권혼합 2007-06-14 한국벨류
신영퇴직연금배당40(채권혼합)C 형 채권혼합 2006-01-24 신영
우리하이플러스채권 C-P 일반채권 2015-12-09 우리
한국투자퇴직연금(국공채)(C) 국공채권 2006-01-02 한국
유진챔피언단기채(채권)C-P2 국공채권 2016-06-08 유진
미래에셋퇴직플랜글로벌다이나믹(채권)C 초단기채권 2011-07-14 미래에셋
삼성퇴직연금코리아대표40 1[채권혼합]C 글로벌채권 2006-01-02 삼성
신영퇴직연금배당주식 C 채권혼합 2008-04-01 신영
미래에셋전략배분 TDF2025혼합 C-P2 액티브배당 2017-03-24 미래에셋
미래에셋퇴직연금배당프리미엄(주식혼합)종류 C 주식혼합 2014-11-11 미래에셋
미래에셋퇴직연금베스트펀드컬렉션(채권혼합-재간접 채권혼합 2012-04-13 미래에셋
삼성 MMF 법인 1_Cp(퇴직연금) MMF 2013-03-29 삼성
미래에셋퇴직플랜40(채권혼합)C 채권혼합 2006-01-02 미래에셋
피델리티글로벌배당인컴(주식-재간접형)CP 글로벌주식 2014-11-24 피델리티

 

 

댓글